신간안내

All Menu

지역문학의 힘으로 민족과 세계를 봅니다.

신간안내

페이지 정보

저자/책명
김대갑/푸른 뱀
출판사/년도
청어/25. 7. 10.

본문

58f576c168a36f2fae495ecf43a960a6_1751990073_179.jpg
책 소개


언제나, 한 편의 소설을 완성할 때마다, 나는 늘 미안했다. 내가 창조한 인물들에게. 내가 무엇이라고 그들의 운명을 결정짓는단 말인가? 과연 내게 그럴 자격이라도 있는 걸까? 그런 미안함을 안고 나는 소설 속 인물들을 그려냈다. 아니, 정확하게는 소설이라는 장치를 빌려 하나의 우주를 만들었다. 그 도도한 인연의 강 속에서 그들이 질박한 삶을 살도록 내버려 두었다. 이미 내 손을 떠난 존재들이기에. 나의 현 우주에는 존재하지 않는 허구의 인물들에게 생명을 불어넣었고, 그들이 살아갈 어떤 우주를 만들었을 뿐이라고 나 자신을 위무했다. 한 편의 작품이 끝날 때마다 나는 그들을 추념하는 작은 제의를 올리곤 했다. 그 언젠가 나의 작품 속에서 다시 만나기를 원망(願望)하면서. 『푸른 뱀』이 세상에 나오기까지 제법 긴 시간이 흘렀다. 첫 구상, 그러니까 그 어슴푸레하게 떠오르던 얼개들이 활자화되기까지 근 십오 년 이상이 걸렸다. 대학에서 정통문학을 공부했다고 자부하는 나이지만, 등단은 늦깎이로 했으니 십오 년의 세월이 무슨 상관이겠냐마는. 어찌 되었든 나의 첫 장편소설인 『푸른 뱀』은 등단하기 전부터 내 머릿속에 하나의 부채처럼 맴돌고 있던 소재였다.


이 년 전 오월이었던가. 그때 나는 선비의 고장인 담양에 있었다. 그곳의 창작공간인 ‘글을 낳는 집’에 한 달간 레지던시 작가로 살면서 즐겁고 행복한 마음으로 장편소설을 완성했다. 십오 년의 세월이 결실을 보는 순간이었다. 그동안 썼던 원고를 처음부터 다시 검토하고 플롯을 다시 짜고, 인물 설정도 바꾸면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물론 『푸른 뱀』의 제목도 여러 번 바뀌었지만.


소설을 쓰는 틈틈이 첼로 연주를 자주 들었다. 인간의 심장을 가장 편안하게 만든다는 첼로 연주를 들으며 퇴고하는 것은 나에게 있어 가장 큰 기쁨이었다. 기분이 울적할 때는 양금 연주를 들으며 기지개를 켰고,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힐 때는 대금 소리를 들었다. 비가 오는 날이면 처마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바라보며 비탈리의 샤콘느 혹은 오펜바흐가 작곡한 재클린의 눈물을 듣기도 했다. 소설 속 주인공의 청순가련함을 느껴보고 싶어서 일지도. 이 모두가 소설 속에서 공감각을 지향하는 나의 성향과 무관하지 않다.


가끔 담양의 아름다운 정자들을 입주 문인들과 찾아다니며 힐링의 시간을 가진 것도 무척 행운이었다. 면앙정, 송강정, 명옥헌, 그리고 소쇄원을 비롯한 수많은 정자. 가히 정자의 고장이라고 할 정도로 담양에는 자연과 어우러진 정자들이 무척 많았다. 그 고적한 분위기에 젖은 채 소설의 줄거리를 구상하는 것도 큰 즐거움이었다. 『푸른 뱀』을 상재한 후, 나의 부채 의식이 정자를 감싸고 돌던 안개 속으로 사라진 것이 무엇보다 기쁘다.


첫 소설집의 표제작인 「프러시안 블루」에서도 청사포 이야기는 등장한다. 주인공인 ‘수’와 ‘환’은 여주와 우섭으로 존재 회전을 거쳐 다시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솔직하게 말하면 ‘수’와 ‘환’은 장편소설을 구상하는 와중에 먼저 세상 밖으로 나온 인물들이었다. 여주와 우섭에게 현대적인 감각의 외피를 달게 해서 먼저 탄생시킨 인물들이니까. 시간상으로 따지자면 『푸른 뱀』은 「프러시안 블루」의 프리퀄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부터 수십 년 전이었다. 첫째 아이가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나는 가족과 함께 청사포와 가까운 곳에 살게 되었다. 당시의 청사포는 지금처럼 관광지가 아닌, 무척 한가하고 여유로운 동해안의 마지막 어촌이었다. 나는 거의 매일 아침 프러시안 블루로 물든 청사포를 보며 온갖 상상과 환상의 틈바구니를 오고 갔다. 나는 우선 포구의 이름 자체가 마음에 들었다. 청사포에 오기 전부터, 청사포라는 이름을 들을 때마다 나는 그 이름이 주는 생경함과 푸르름, 어딘가 모를 신비로운 풍경을 떠올렸다.


푸를 청(靑), 뱀 사(蛇), 그리고 포구 포(浦). 푸른 뱀의 포구. 이름 자체에서 어딘가 문향(文香)이 가득 배어 있는, 그래서 시적인 향훈이 물씬 풍기는 청사포. 망부송 맞은 편에는 청사포 유래비가 서 있었다. 그 비석 뒷면에 적힌 짧은 전설을 바라보며 떠올렸던 상상의 순간들. 망부송에서 구덕포 방향으로 걸어가다가 만난 손공장군비는 또 어떠하던가? 검은 비석에 한자로 희미하게 쓰인 손공장군비(孫公長軍碑)라는 글자는 또 다른 우주를 떠올리는 신물(神物)이었다. 청사포에 마을이 들어선 후, 처음 당도한 유체를 위로하기 위해 세웠다는 이 비석의 주인공은 과연 어떤 사람이었을까? 뱀이라는 글자가 좋지 않다고 해 후일 마을 어른들이 모래 사로 바꾸었다는 청사포. 푸른 뱀의 포구도 좋고 푸른 모래의 포구도 좋았다. 그 어떤 이름이든 모두 풍요한 이미지를 나에게 주기에 충분했으니까.


우리 민족에게 뱀은 서양과 달리 그리 흉측한 것이 아니었다. 뱀의 머리는 남근을 닮아서 예로부터 다산과 풍요의 상징이었다. 동해안 7번 국도를 따라 올라가면 성 신앙과 관련된 유적지가 많다. 바다에 의존해서 살아가는 어촌 사람들은 늘 삶과 죽음의 문턱을 넘나들었다. 그래서 어촌에는 유독 무녀와 제의가 많았고 그를 통해 어부들은 신과 접촉하고자 했다. 그 모두가 생명에 대한 근원적인 희망이었다. 청사포의 푸른 뱀 전설도 그와 무관하지 않다고, 나는 늘 생각했다. 청사포의 동해안 별신굿 연행이 시작되는 곳은, 전설의 주인공인 김 씨 여인을 기리는 망부송과 그 앞의 당집인 것도 역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다.


해운대 끝자락인 미포와 그 옆의 청사포, 그리고 송정의 시작이자 청사포의 끝자락이기도 한 구덕포. 이 세 포구를 일러 해운 삼포라고 한다. 예로부터 해운 삼포에는 삼 년에 한 번씩 〈동해안 별신굿〉이 열리곤 했다. 풍어제, 풍어굿, 골매기 당제라고도 불리는 이 굿은 그 규모도 장려하거니와 남부 동해안 마을의 문화를 집대성한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푸른 뱀』의 시작은 청사포에 내려온 전설이었으나 그 전설과 함께 몸을 섞은 것은 동해안 별신굿이었다. 큰무당인 미향과 그의 애제자인 여주, 그리고 그 여주의 남자 우섭의 이야기가 『푸른 뱀』의 큰 줄기이다. 또한 청사포의 제왕으로 군림하는 악의 상징, 강수를 더해서 내 나름대로 청사포라는 공간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우섭이라는 인물을 통해 내 소설은 멀리 인도양의 지상낙원, 세이셸이라는 환상의 섬까지 가닿았다. 거기서 니샤라는 인도계 출신의 무녀를 통해 여주와 우섭이 푸른 뱀이라는 신묘한 존재와 결합하는 모습을, 일종의 매지컬 리얼리즘 기법으로 그려내고자 했다. 그런데 그게 어색하지 않게 통했는지는 독자들의 몫으로 돌리고 싶다. 나의 소설 창작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고 앞으로도 무한히 변모할 것이다.


소설은 결국 사람들의 이야기가 아닐까? 『푸른 뱀』은 청사포에 살았고, 지금도 청사포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그 수많은 인연의 얽히고설킴을 통해 청사포라는 우주를 만드는 사람들의 삶을 나는 빈약한 글재주로 표현해 보았다. 어쨌든 홀가분하다. 부산이라는 지역 문단에서 소설가라는 이름을 하나 얻었지만 정작 장편소설을 내지 못한 미안함을 이번에 떨치게 되었으니. 아직도 소설가라는 명칭은 나에게 과분하고 낯설다. 그냥 소설 쓰는 사람이라고 하는 것이 더 편할 뿐이다. 앞으로도 정말 좋은 소설로 독자들을 만나는 ‘소설 쓰는 사람’이 되고 싶다.


푸른 구름이 머무는 곳, 청운재(靑雲岾)에서

김대갑


* 출처 :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8740152>

Top